- junk paradise
- 라운지
- 리뷰
글 수 762
저자/가선
출판사/캐럿북스(시공사)
눈코 뜰새 없이 정신이 없는 요즘, 그래도 꼭 읽고 싶은 책이 있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청린>. 아는 분은 아시다시피 가선님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 비록 전작인 <바람에 묻다>에서는 많이 아쉽긴 했어도 역시 이 작가의 신간이 소개되면 보자마자 읽고 싶어 죽는다.
가선 작가의 매력은 단연코 흡입력이다. 뭔 내용인지 자세히 기억나지 않음에도 읽을 때는 진짜 정신없이 읽게 된다. 그 최고가 <각의 유희>였다.
<바람에 묻다>는 변화의 시기였다 짐작했던데로, <청린>에서는 확실히 변했더라. 뭐라 딱 정의내리긴 조금 곤란해도, 하여튼 변했다.
<각의 유희>에서 딱딱 끊어지던 문체는 유하게 변했다. 이 작가의 소설은 읽는 내내 호흡이 가쁜 편인데, 이번에는 조금 느릿했다. 만연체는 아니고 기타 수식어가 화려하게 장식된 것도 아닌데, 부드럽고 강렬하며 온화하다. 냉정하다 싶을 만큼 절도 있던 구성은 약간 친절해졌다. 물론 조금만 더 친절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없잖아 있지만.
글을 쓸 때, 가장 고민하는 부분이 주인공의 과거 설정을 독자에게 어디까지 설명해줄 것인가 이다.
<청린>에서 벽운의 과거는 또한 신무의 과거는 생략되기엔 많은 면에서 곤란하다. 일단 그 과거로 인해 그들의 성격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주인공들의 과거를 이해하게 되면 현재 그들이 왜 그럴 수밖에 없고, 어떤 행동이 얼마나 파격적인 것인지 짐작이 된다. 때문에 1권 내내 주인공의 과거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을 거다. 그러나 바로 이 때문에 지루하다란 평을 들을 수밖에 없다.
솔직히 말하자면, 난 별로 지루하지 않았다. 이미 읽어본 사람에게 얼핏 사전 지식을 전달받았기 때문 일지도 모르겠지만.
만일 그들의 과거를 대략적 설명으로 그치고 넘어갔다면, 신무가 벽운에 집착하는 게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몰랐으리라. 대왕의 이복형제로 장차 대고구려의 왕이 될 이가 신분이 낮은 사람과 연을 맺는다는 게 얼마나 큰 일인지, 그래서 사람들이 왜 걱정을 하는 것인지, 그럼에도 신무의 형이자 당시 고구려의 왕이 왜 허락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관해 그저 내 단편적 지식으로 판단을 할 수밖에 없었을 거다. 하지만 1권 내내 언급된 신무란 인물의 성격과 배경은 이러한 상황에 설득력을 주었다.
그래도 완전히 지루하지 않다고 말하진 못한다. 호흡은 안정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생략의 묘미를 한껏 살리는 작가의 작법 땜시 지루할 틈이 없을 뿐. 오죽하면 여기 이 장면 중간에 뭔가 더 있었죠? 라고 물으면 작가는 그저 지긋이 미소만 지을 정도겠는가 말이다(이럴 땐, 굉장히 밉다ㅜ.ㅜ).
배경이 역사인 경우, 문장이 화려하고 만연해야한다는 내 고정관념을 확실히 깨버린 것이 바로 이 <청린>이다. 또한 자료조사의 철저함을 "내 고려"라 말하는 고구려인들의 대화에서 짐작할 수 있다.
화려한 형용사와 수식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 시대를 능히 짐작하게 만들어낸 <청린>. 비록 아쉬운 점은 있지만, 역시나 가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후기에 언급되었던 작가의 환상을 나 역시 꿈꾼다.
출판사/캐럿북스(시공사)
눈코 뜰새 없이 정신이 없는 요즘, 그래도 꼭 읽고 싶은 책이 있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청린>. 아는 분은 아시다시피 가선님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 비록 전작인 <바람에 묻다>에서는 많이 아쉽긴 했어도 역시 이 작가의 신간이 소개되면 보자마자 읽고 싶어 죽는다.
가선 작가의 매력은 단연코 흡입력이다. 뭔 내용인지 자세히 기억나지 않음에도 읽을 때는 진짜 정신없이 읽게 된다. 그 최고가 <각의 유희>였다.
<바람에 묻다>는 변화의 시기였다 짐작했던데로, <청린>에서는 확실히 변했더라. 뭐라 딱 정의내리긴 조금 곤란해도, 하여튼 변했다.
<각의 유희>에서 딱딱 끊어지던 문체는 유하게 변했다. 이 작가의 소설은 읽는 내내 호흡이 가쁜 편인데, 이번에는 조금 느릿했다. 만연체는 아니고 기타 수식어가 화려하게 장식된 것도 아닌데, 부드럽고 강렬하며 온화하다. 냉정하다 싶을 만큼 절도 있던 구성은 약간 친절해졌다. 물론 조금만 더 친절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없잖아 있지만.
글을 쓸 때, 가장 고민하는 부분이 주인공의 과거 설정을 독자에게 어디까지 설명해줄 것인가 이다.
<청린>에서 벽운의 과거는 또한 신무의 과거는 생략되기엔 많은 면에서 곤란하다. 일단 그 과거로 인해 그들의 성격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주인공들의 과거를 이해하게 되면 현재 그들이 왜 그럴 수밖에 없고, 어떤 행동이 얼마나 파격적인 것인지 짐작이 된다. 때문에 1권 내내 주인공의 과거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을 거다. 그러나 바로 이 때문에 지루하다란 평을 들을 수밖에 없다.
솔직히 말하자면, 난 별로 지루하지 않았다. 이미 읽어본 사람에게 얼핏 사전 지식을 전달받았기 때문 일지도 모르겠지만.
만일 그들의 과거를 대략적 설명으로 그치고 넘어갔다면, 신무가 벽운에 집착하는 게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몰랐으리라. 대왕의 이복형제로 장차 대고구려의 왕이 될 이가 신분이 낮은 사람과 연을 맺는다는 게 얼마나 큰 일인지, 그래서 사람들이 왜 걱정을 하는 것인지, 그럼에도 신무의 형이자 당시 고구려의 왕이 왜 허락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관해 그저 내 단편적 지식으로 판단을 할 수밖에 없었을 거다. 하지만 1권 내내 언급된 신무란 인물의 성격과 배경은 이러한 상황에 설득력을 주었다.
그래도 완전히 지루하지 않다고 말하진 못한다. 호흡은 안정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생략의 묘미를 한껏 살리는 작가의 작법 땜시 지루할 틈이 없을 뿐. 오죽하면 여기 이 장면 중간에 뭔가 더 있었죠? 라고 물으면 작가는 그저 지긋이 미소만 지을 정도겠는가 말이다(이럴 땐, 굉장히 밉다ㅜ.ㅜ).
배경이 역사인 경우, 문장이 화려하고 만연해야한다는 내 고정관념을 확실히 깨버린 것이 바로 이 <청린>이다. 또한 자료조사의 철저함을 "내 고려"라 말하는 고구려인들의 대화에서 짐작할 수 있다.
화려한 형용사와 수식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 시대를 능히 짐작하게 만들어낸 <청린>. 비록 아쉬운 점은 있지만, 역시나 가선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후기에 언급되었던 작가의 환상을 나 역시 꿈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