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k paradise
- 라운지
- 자유게시판
글 수 1,868

오늘날 확인할 수 있는 한국 최초의 '일본만화원작 영화'는 우리이게도 잘 알려진 「캔디캔디」이다. 최인현 감독, 엄효정/김도희 주연의 이 작품은 81년 허리우드 극장에서 개봉하여 2만여명의 관객을 동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내용 자체는 원작만화와 대동소이한 것으로 생각되나, 놀라운 점은 영화 크레딧에조차 "원작 미즈키 교오코"라는 일본인 이름이 버젓이 올라와 있다는 사실이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인 원작의 영화는 하시다 스가코의 「오싱」, 미우라 아야코의 「빙점」등 손가락으로 꼽아도 될 정도로 적었는데, 이는 일본문화에 대한 당시의 알레르기성 거부반응 덕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만화가 한국에서 영화화됐다는 사실로 미루어볼때, 당시 한국에서의 「캔디캔디」의 인기가 어느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당시 「캔디캔디」의 원작자가 일본인임이 널리 알려졌던 것도, 당시 분위기를 생각해보면 참으로 별난 일이다. 더구나 이케다리요코의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마리 스테판드바이트라는 엉뚱한 프랑스 작가의 이름으로 위장했었던 사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고.)
이렇듯 「캔디캔디」는 80년대초 '일본만화원작 영화'의 첫 테이프를 끊었지만, 오늘날에는 포스터와 스틸 정도만 남아 그 엽기성을 짐작케 할 뿐이다.
TV방영을 한 번 한적이 있다고는 하지만, (실사판 캔디가 TV 방영된 적은 80년대 말인가 90년대 초쯤 KBS에서 있었었는데, 엄효정씨는 조연이고 주연은 가운데 계신 최선아(본명 최효선)씨다. 한때 유동근씨와 사모곡(?)이던가 드라마에서도 날리고 영화도 좀 찍고 제법 잘 나가던 주연급 여배우다.) 그 이후 이렇다할 흔적을 못 남기고 자취를 감춘 것을 미루어 보면, 누군가가 더 이상의 희생자(?)를 막기위해 이 영화를 지오프론트에 영구봉인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무튼 그 뒤를 이어 '일본만화원작 영화'가 활짝 꽃피기까지는 90년대초까지 기다려야 한다.
(2001. 8. 10 정정 : 실사판 캔디는 TV 방영 된 적이 있습니다. 80년대 말이나 90년대 초쯤 KBS에서 방영되는 걸 아주 재미있게 봤습니다. 그리고 엄효정씨는 조연이고 주연은 가운데 계신 최선아(본명 최효선)씨입니다. 한때 유동근씨와 사모곡(?)이던가 드라마에서도 날리고 영화도 좀 찍고 제법 잘 나가던 주연급 여배우지요.)
[참고]
인터넷에서는 이 캔디에 대해 큰 악평도 돌았다. "호랑이선생님에 나오는 사람들이 나와서 모여라꿈동산같은 복장을 하고 대걸레같은 가발을 쓰고서는 헛짓거리 하는 개허접 3류 생양아치 영화" 라는 표현이었었는데, 이 포스터와 비교해서 편집자가 보기에는, 아마 그 악평을 얻은 캔디는 다른 종류의 캔디가 아니었나 싶다.
아아, 갑자기 생각났더랍니다.
아주아주 어렸을 때, 이 영화를 제가 봤었다는 사실을 말이예요. 아주 어릴 적 캔디에게 푹 빠져 있던 아주 어릴 적..우리 나라 사람이 만들어놓은 실사 영화를요.
참고로..아래 캔디소개 글 열어서 읽어보시면...나오는 심상곤 씨가 썼다는 미세스캔디!ㅠㅠ 저 저거 샀었습니다.;; 엄마한테 허락맡고 용돈 모아서 만화책 꼬박꼬박 모았었고요..미세스 캔디 소설..까지 샀었습니다.
아아, 그 내용은 참으로..; 물론 테리랑 이어지는 내용이었지요. 전쟁이 나서 종군 간호사로 파견되는 캔디가 방황하다가 참전한 테리랑 만났던가..그랬어요. 스잔나는 수녀가 되어서 코피 흘리면서 광분하면 좋아했던 기억이 생생..;
느무느무 감동 먹어서는 그 출판사에 전화를 걸어서 이거 진짜인가요? 울나라 사람이 쓴 가짜 아닌가요? 하고 물어봤었어요..@@; 출판사에서는 물론 진짜지요~ 라는 구라를..-_-; 내 아직도 기억하오. 하지만 거짓이었던 그 대답 딴 데 확인할 길은 없었지만서도..참 기뻤던 기억이 납니다요.
그나저나 이 배우들..지금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계시려나요..;
[원문발췌]
:: Focus Change 3회 : 실사판 북두의 권은 과연 매드비디오인가?
( http://higher.x-y.net/focus3.html )
[참고]
:: 실사판 '캔디캔디' 내용소개
( http://higher.x-y.net/candy.h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