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k paradise
- 라운지
- 자유게시판
글 수 1,868
초등학교 6년과정 3개월만에 끝낸 6살 영재
[서울신문]어른도 어렵다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혼자 공부한 여섯살짜리 영재 어린이가 합격해 화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난 25일 발표한 정보처리기능사 합격자 가운데 최연소자인 만 6세의 송유근(경기도 구리시)군이 포함된 사실이 30일 뒤늦게 밝혀졌다.
정보처리기능사는 전자계산기 일반과 정보통신 일반,PC운용체제 등 4개 과목의 필기시험과 프로그램 작성 등 2차 실기시험에서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할 수 있다.그동안 필기와 실기를 연이어 합격한 최종 합격률은 32.6%에 불과할 정도로 청소년은 물론 성인도 취득이 쉽지 않은 자격시험이다.
송군은 영어 듣기와 말하기는 물론,미적분 문제까지 술술 푸는 뛰어난 영재로,이미 매스컴에 여러 번 소개됐던 인물.또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른바 ‘왕따’를 당해 유치원도 그만뒀다.요즘도 하루일과는 인터넷으로 미국 인권운동가 마틴루터 킹 목사의 영어연설을 들으며 시작한단다.구구단을 외운지 7개월만에 미적분을 풀고,초등학교 6년 과정을 단 3개월만에 끝냈다.이번 기능자격시험 역시 학원도 다니지 않았고 독학으로 공부한지 한 달여만에 필기시험에 합격한 뒤,실기도 가정용 컴퓨터를 이용해 혼자 연습한 것으로 알려져 또한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부모는 검정고시를 통해 초등학교를 건너뛰게 하려 했지만 만 12세까지 검정고시를 볼 수 없다는 교육부의 반대에 부딪혀 검정고시 연령제한을 풀어달는 행정소송까지 냈었다.법원이 “어린이들에게 사회 적응력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의무교육의 취지에 따라 검정고시 연령제한 규정을 둔 것은 정당하 며 12살 이전의 검정고시는 불가능하다.”고 판결해 검정고시의 꿈을 접기도 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서울신문]어른도 어렵다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혼자 공부한 여섯살짜리 영재 어린이가 합격해 화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난 25일 발표한 정보처리기능사 합격자 가운데 최연소자인 만 6세의 송유근(경기도 구리시)군이 포함된 사실이 30일 뒤늦게 밝혀졌다.
정보처리기능사는 전자계산기 일반과 정보통신 일반,PC운용체제 등 4개 과목의 필기시험과 프로그램 작성 등 2차 실기시험에서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할 수 있다.그동안 필기와 실기를 연이어 합격한 최종 합격률은 32.6%에 불과할 정도로 청소년은 물론 성인도 취득이 쉽지 않은 자격시험이다.
송군은 영어 듣기와 말하기는 물론,미적분 문제까지 술술 푸는 뛰어난 영재로,이미 매스컴에 여러 번 소개됐던 인물.또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른바 ‘왕따’를 당해 유치원도 그만뒀다.요즘도 하루일과는 인터넷으로 미국 인권운동가 마틴루터 킹 목사의 영어연설을 들으며 시작한단다.구구단을 외운지 7개월만에 미적분을 풀고,초등학교 6년 과정을 단 3개월만에 끝냈다.이번 기능자격시험 역시 학원도 다니지 않았고 독학으로 공부한지 한 달여만에 필기시험에 합격한 뒤,실기도 가정용 컴퓨터를 이용해 혼자 연습한 것으로 알려져 또한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부모는 검정고시를 통해 초등학교를 건너뛰게 하려 했지만 만 12세까지 검정고시를 볼 수 없다는 교육부의 반대에 부딪혀 검정고시 연령제한을 풀어달는 행정소송까지 냈었다.법원이 “어린이들에게 사회 적응력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의무교육의 취지에 따라 검정고시 연령제한 규정을 둔 것은 정당하 며 12살 이전의 검정고시는 불가능하다.”고 판결해 검정고시의 꿈을 접기도 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어린 것이 저 모든 걸 하고 싶어서 했다면 모르겠지만, 부모의 욕심이라면 정말 불쌍할 거 같아요. 천재를 천재답게 길러주는 곳으로 우리 나라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천재가 어떻게 성장할지는..지식이 아니라 인성일텐데. 부모는 그걸 제대로 가르쳐주고 있을라나..의심스럽군요..; 예쁘게 생겼는데..ㅠㅠ [0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