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762
저자/연두
출판사/청어람

혼자만의 여행을 떠난 은수는 길에서 한 남자를 만난다. 우연한 만남이 계속되자 둘은 어느새 감정을 교류하게 되고 마침내 함께 밤을 보낸다. 하지만 아침이 되자 은수는 조용히 그의 곁을 떠난다.
은수를 잊지 못한 도준은 그녀가 통화 중에 흘린 단서를 쫓아 그녀를 찾으려 하지만 둘은 뜻밖의 우연한 기회로 조우한다. 도준은 그녀를 잊지 못하겠다 하지만 은수는 그저 하룻밤의 일이라 말하는데......



로맨스 소설이다, 아니다란 정의를 내리기란 참 어렵다. 한 예로 라빌 스펜서에 대한 갑론을박을 들 수 있겠다.

라빌 스펜서의 작품을 굉장히 좋아하는 나로써는 그녀의 소설을 단연코 로맨스 소설이다 말하지만, 로맨스 소설의 환상적인 측면만을 고려하는 분들에게서는 그녀의 작품들이 입맛에 맞지 않는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처음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다른 사람은 왜 좋아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개개인의 취향 차이와 같은 소설이라도 각각 받아들이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걸 깨닫고 나선 어느 정도 이해를 하게 되었다. <반려> 역시 마찬가지이다.

<반려>는 인간의 어두운 부분을 조명하고 있다. 리뷰를 보면 대다수가 어둡다, 암울하다, 불쾌하다 등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로맨스 소설을 보며 환상만을 충족하길 원하는 이들에게는 이러한 극단적 소재를 접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있으리라. 그렇지만 내겐 그렇게까지 어두운 소설이란 느낌이 들지 않았다. 소재만으로 본다면 말이다.

<메두사>에서도 언급했듯이 소재는 소재일 뿐이다. 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그 소재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얼마나 알맞게 부합되는가 이다. 즉, 소재가 단순히 자극만을 위해 차용된 것이 아닌, 이야기 진행에 있어 적절한 배합을 이루어야만 한다는 거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반려>에서 사용된 소재는 충분히 제 역할을 다한 듯 여겨졌다. 때문에 소재로 인해 비난을 받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 소설에 집중을 하지 못했다.

의도적인 것인지 혹은 비의도적인지 모르겠지만, 소설 중간중간 작가가 직접 튀어나와 설명을 해줌으로 인해 감정 이입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반려>는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점은 모든 등장인물의 심리, 행동의 동기, 감정 등 내면을 샅샅이 살펴볼 수가 있으며 또한 사건의 전개와 소설의 모든 부분에 개입하여 때로 작가로써 인물이나 사건을 설명·비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적 작가 시점은 작가가 최대한 주인공에게 녹아들어 독자들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로맨스 소설은 감정 이입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대부분 이 전지적 작가 시점을 사용한다. 앞서 말했듯 <반려> 역시 겉으로는 전지적 작가 시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종 관찰자 시점을 혼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문이 몰입을 방해했다.

관찰자 시점은 제한적 시점으로 작품 속의 특정인은 화자로서 이야기를 전하지만, 작가는 단지 관찰자의 입장에서만 이야기를 서술하기 때문에 객관적이며 외부적 사실만을 묘사한다. 이는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한 시점이다.



「공기 속에 떠다니는 아내의 영혼이 이 배의 향기라도 맡으라는 듯 도준 눈을 감고 그 자세로 조용히 서 있었다. 이젠 희미해져가는 아내의 얼굴, 왜 이 배를 먹이지 못했다는 감정만 생생하게 남아 있는 걸까. 울컥 뜨거운 무언가가 목구멍을 치밀고 올라온다.
이건 자족이다. 알고 있다. 비난을 받고서라도 아내를 위한다는 걸 스스로 확인하고 싶어 굳이 이 절에 안치하기를 고집한 것이리라. 무심하고 무심했지만 그래도 아내를 가장 잘 아는 건 그라는 걸 확인하고 싶어 괜히 아무에게도 그녀의 종교를 말하지 않고 이곳에 그녀를 안치했다. 지독한 이기심. 이제 사랑하는 사람은 없는데, 눈앞에도 없고 그 실체도 없는데, 홀로 사랑했다고 되뇌며 괴로워하는 이유는 뭘까. 정작 괴로운 건 아내가 없어졌다는 것보다 그의 마음을 쏟기도 전에 그 대상을 잃었다는 상실감이 아닐까.
천천히 눈을 뜨고 과일들이 차려져 있는 상 쪽으로 걸어갔다. 그리곤 사 온 배를 상 위에 조심스럽게 올려놓곤 밖으로 나갔다. 도준이 신발을 신고 있는데 귀에 익은 소리가 그를 불렀다. - p.134~135」


여기서 작가는 주격조사 '~이', ~가'를 사용하고 있다. "도준이 눈을 감고 ~서 있었다", "그가 천천히 눈을 뜨고 ~걸어갔다." 등은 관찰자가 도준이라는 캐릭터의 행동을 서술하고 있는 듯 느껴지게 한다. 반면에 "이건 자족이다. ~상실감이 아닐까." 까지는 분명 1인칭이자,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이다. <반려>의 지문들은 대부분 이러하다.

"도준이 신발을 신고 있는데 귀에 익은 소리가 그를 불렀다."는 분명히 관찰자의 시점으로 서술함이 옳다. 그 다음 장면에서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므로 독자는 작가의 의도대로 한 걸음 떨어져 주인공의 행동을 지켜보는 게 훨씬 더 자연스러우니까.

그렇지만 도준의 독백 직전, 직후의 문장은 전지적 작가시점으로 서술하여야함이 옳다. "도준이 눈을 감고~"가 아닌 "도준은 눈을 감고~"로, "그가 천천히 눈을 뜨고~"가 아닌 "그는 천천히 눈을 뜨고~"로 말이다. 그 장면은 분명 도준이라는 캐릭터의 내면 심리와 그의 시점에서 행동을 묘사하는 것이므로 작가는 배제된 채 독자가 직접 주인공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려>는 그러지 않았다.

이렇게 관찰자 시점 즉, "독자 -> 작가 -> 주인공" 이런 식으로 글을 읽게 만들면 독자는 마치 투명한 벽(작가)을 세워두고 주인공을 관찰하는 기분을 느끼게 된다.

불쑥 불쑥 튀어나오는 이러한 관찰자 시점으로 인해 주인공의 감정과 상황에 몰입되어 있다가 깨어나길 반복하다보니 책을 읽는 게 참으로 힘겨웠다. 차라리 애초부터 관찰자 시점이었다면 주인공이 왜 그러한지 호기심을 갖고 접근했을 것이다. 제대로된 관찰자 시점일 경우, 주인공의 내면 심리가 지문으로 설명되지 않고 그의 행동이나 말에서만 정보를 전달받게 되므로 더한 호기심을 느끼며 읽어갈 것이다.

아쉽게도 <반려>의 전체적인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이었기에 주인공의 감정, 상황, 행동의 이유 등이 독자가 알기 쉽도록 서술되어 았다. 때문에 전지적 작가 시점을 통해 주인공에게 몰입되어 있다가 뜬금없이 나타나는 관찰자 시점에서 한 발짝 물러서게 됨을 반복하니 글읽기가 짜증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관찰자 시점에서 작가는 작가의 생각을 독자에게 강요하고 있어 더 문제라 지적하고 싶다.

소설은 작가가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소설 속에서는 작가는 되도록 철저하게 배제되어야만 한다(물론 완전히 배제될 수는 없다). 독자는 작가의 사고와 가치관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의 사고와 감정에 따라가야만 한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혹시 작가는 문장에 힘을 주고 싶어한 걸지도 모른다. 솔직히 내가 쓰는 소설에 멋을 부리고 싶은 마음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나 역시 그러하니까. 하지만 그 멋부림에도 최소한 일관성은 있어야하지 않을까? 더해 이렇듯 자신의 이야기만을 줄줄이 늘어놓기 보다는 자신의 이야기가 독자들에게 더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만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주인공의 설정에 사용된 소재에 대해 독자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지 않았을까? 소재에 대해서만 크게 비난을 하지 않고 말이다.

후기에 보면 그러한 소재- 주인공의 설정에 대해 작가는 걱정을 한 듯 하다. 하지만 그런 걱정을 하기 전, 독자들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도록, 소재를 소설 속에 녹아들도록 만드는데 더 심여를 기울였더라면 좋았을 텐데 싶다.

한 가지 더 지적하고 싶은 게 있다. 이 작가의 여주인공들은 매번 사색에 잠겨 있다. 현실의 상황을 사색하는 것이 아닌, 현실을 벗어난 어디 먼 별 나라의 이야기를 하는 듯 무덤덤 하면서도 형이상학적인 사색에 잠겨있길 좋아한다. 문을 여는 단순한 동작에 있어서도 문을 열고 나가는 게 아닌, 그 사이 잠시 딴 생각에-지금 그녀가 고민해야만 할 상황이 아닌 다른 생각에 빠져있길 즐겨한다. 이는 작가의 지나친 간섭으로 느껴진다.

생각하건데 작가는 페미니스트가 아닐까 한다. <얼어죽을 놈의 나무>에서도 느꼈던 것처럼 여성의 현실에 관해 극도의 분노를 은연중에 품고 있는 건 아닐지. 그것이 주인공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직접적으로 독자들에게 주입시키고 있음으로 인해 반발하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게 아닐까?

소설은 일기가 아니다. 쓸때는 철저히 혼자만의 작업이지만, 일단 출간이 되었다면 더이상 혼자만의 독백이 아니라 누군가와 공유하게 되는 창작물이다. 고로 작가의 사상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그 소재를 얼마만큼 일관성 있고 개연성 있게 풀어나갈지가 중요하다. 철저하게 주인공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면 그 어떤 소재를 쓰든 독자들은 받아들일 것이라 본다.

내게 있어 <반려>는 분명 로맨스 소설이다. 로맨스 소설은 그 어떤 소재를 쓰든 제한을 두지 못한다. 그러므로 소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특정 작품을 '로맨스 소설이 아니다'라 부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특정 장르의 작가라면 특정 장르의 독자들을 배려하는 친절함은 잊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정형이 되든, 뻔한 소재가 되든, 전개되어 가는 과정이 진부하든, 정형을 비틀든 상관없다. 정형 혹은 비정형 소재를 어떻게 풀어나가든 독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가 있다면 작가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으리라. 그렇지 못 했다면 그건 분명 작가의 실수다.

다시 말하지만 <반려>는 결코 소재로 인해 비난을 받을 글이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시점의 혼돈과 작가의 지나친 개입 등으로 인해 결국 로맨스 소설적으로는 완성도가 높다 하긴 매우 곤란한 듯 하다.

그러나 그동안 출판된 글을 모두 다 읽어본 나로써는 여전히 일말의 기대감을 갖는다. 경직된 어깨에서 힘을 빼고, 전투 모드를 잠시 꺼두고,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자연스런 느낌으로 풀어나간다면 정말 좋은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다.


댓글 '4'

수룡

2004.05.26 14:03:41

음.. 독자가 부담감을 느끼긴 하겠지만, 전 저런 색깔의 작가가 있다는 걸 상당히 좋게 봅니다. 제 취향이 다양한 종류의 마이너틱한 걸 바라서 그런 것도 있긴 하지만, 로맨스계는 좀 다양해질 필요성이 있는 듯 합니다.

코코

2004.05.26 23:44:19

저런 색깔이란 어떤 색깔을 말씀하시는지 모르겠군요^^;; 반려는 마이너틱하지 않았는데요?
그리고 외국 로맨스를 찾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로맨스 장르에도 서브 장르가 다양합니다. 국내에는 아직 부족합니다만.
로맨스 장르는 웬만한 타 장르는 모두 다 가져와 로맨스와 접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물론 그걸 독자들이 쉽게 받아들이도록 하자면, 소설이 최소한 기본은 되어야할 것입니다. 독자들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세상을 어느 정도 이해하며 인정할 수 있도록 말이죠.
전 호러와 추리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언젠가 능력이 된다면 호러 로맨스와 추리 로맨스를 쓰고 싶답니다. 그건 호러이자 동시에 충분히 로맨틱한 소설이 되어야만 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원칙적으로 로맨스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킬 것이고, 또한 로맨스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면 로맨스로써는 실패겠죠.

Junk

2004.05.26 23:50:38

그게 정말 어려워요. 다른 장르와 접목했을 때 로맨스가 제대로 드러나야 한다는 거.

쟈넷

2004.08.14 13:29:18

전 호러와 추리가 결합된 로맨스가 싫습니다. 딱 코코님하고 정반대에요 ㅎㅎㅎ. 접합자체가 잘못되었다는게 아니라, 그냥 제 코드가 아닙니다. 리뷰 읽다 보니 코코님하고 저하고 정말 많이 틀리다란 생각 하면서 웃었습니다. 라빌 스펜서 정말 싫어하거든요. ㅎㅎㅎ . 코코님 리뷰 잘 읽었습니다. 너무 잘 쓰셔요.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리뷰방에 관하여 Junk 2011-05-11
192 여니 님의 바람처럼 [1] Jewel 2004-05-27
191 [영화] 트로이 [10] 페르스카인 2004-05-27
190 [영화] Reality Bites file [4] Junk 2004-05-26
189 나와 너 사이에 [4] Jewel 2004-05-26
188 저도 '나와 너 사이에'입니다. [1] 밍지 2004-05-26
» [로맨스] 반려 [4] 코코 2004-05-25
186 나와 너 사이에 10-12 [3] D 2004-05-25
185 너무 재밌다...... yoony 2004-05-24
184 [로맨스] 내 여자 유혹하는 법 secret 코코 2004-05-21
183 [로맨스] 마녀, 사랑의 주문을 걸다 [4] 코코 2004-05-20